나의 블로그는 어느 블로그 및 유튜브를 저격하거나 부정하려고 하는것이 아님을 명백하게 알려드립니다.
아주 밑천한 한 가정의 아빠로서 힘든세상을 헤쳐가나가야는 과정에서 N잡을 선택한 소시민임을 인지하고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저의 블로그는 전혀 파급력이 없지만 정말 만에하나, 천에하나 유명해 질것을 대비해서 시작글을 작성하는 것이니 오해는 당연히 안하시겠지만, 귀엽게 봐주세요.
프롤로그
이 글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한 내용입니다. 블로그 성장일기는 1화부터 시작되니 처음부터 봐주시면 블로그 성장에 도움이 될수도 있습니다.
대략 블로그를 22년 5월 기준 4개월정도 운영하면서 쌓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금더 진심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자 이 글을 작성합니다.
현재 애드센스 승인 블로그 1개, 비승인 블로그 1개를, 네이버블로그 1개, 카카오뷰 1개를 운영중이다.
운영하면서 어려운점과 좋은점들을 함께 공유하면서 같이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다. 애드센스 승인을 받으면서 이제 블로그는 끝났다는 생각으로 3개월을 열심히 했지만 결과는 2.99달러, 1개월 전전긍긍의 시간을 꾹꾹참으면서 게시물을 작성하였지만, 아무리 나의 생계가 달려있다고 해도 너무너무 재미가 없어서 더이상 진행이 불가하여 이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현재 나의 프로그램은 네가지에 진심인 아빠 또는 모든겅세 진심인 아빠로 진행 할 예정이다.
- 블로그 수익 : 4개월 간 2.99달러[중간에 점을 잘 확인해주시어 오해가 없으시길]
- 블로그 생성날짜 : 22년 5월 쯤? 정확한건 아닌거 같다.
- 22년 9월 28일 유입 방문자는 22명으로 유입이 조금 늘었다.[22.9.27. 0.03달러 수익발생]
블로그에 대한 나의 잡지식
블로그는 글을 작성해서 그 글을 구글, 네이버, 다음을 이용하는 이용자와 AI에게 평가받아 게시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독성이다. 가독성이란 글을 읽는데 있어 얼마나 읽기 편한가를 나타낸 표현이다.
우리의 글은 최초 AI에게 평가를 받아 사람들에게 게시되는 시스템이다.
오늘은 그 AI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 나의 잡지식을 공유하겠다.
블로그 사진설정 방법
정말 고수분들은 사진을 올리지 않고 좋은 글을 작성해서 많은 수익을 낸다고한다. 하지만 나는 아직 블린이기에 사진없이 글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글을 작성하면서 나만의 글작성 노하우를 축척해야 겠다. 사진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AI가 조금 불편하게 올리는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
블로그 사진 올리는 방법
블로그 최적화 : 블로그의 용략을 최소화하여 AI가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
1. 사진은 압축한다.
1-1. 압축 할 사진 첨부 - 다운로드 - 블로그에 사진첨부 [ 끝 ]
TinyPNG – Compress WebP, PNG and JPEG images intelligently
Make your website faster and save bandwidth. TinyPNG optimizes your WebP, PNG and JPEG images by 50-80% while preserving full transparency!
tinypng.com
2. 사진에 대한 설명[ alt 태그] - 시청각자료에 대한 설명을 첨부하면 AI가 이해하는데 좋아 좋게 평가됨.
* 사진에 대한 사실적인 설명만 할것. 억지스러운 키워드를 사용 할 경우 역효과
2-1. 위 사진의 빨간 박스를 클릭하면 설명을 쓸수 있는 박스가 나오게 된다. 이 박스에 간략하게 설명을 작성하면 alt태그 작성완료입니다.
블로그 초보라면 함께
정말 블로그 초보고 어디 의지할 곳이 없다면 잘 찾아온거 같다. 나도 어디에 의질할 곳이 없어서 이카톡방 저카톡방 돌아다니면서 정보를 얻으면서 블로그를 운영이였다. 현재 5개월차 내린 결론은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내것을 하는것이 재미있는 블로그 생활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나는 네가지의 주제로 블로그를 운영할 예정이다. 매일글을 쓰는 습관을 가지고 나의 기록을 나의 자녀들에게도 공유 할 예정이다. 블로그를 통해 수익형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나의 자녀들에게 나의 노력과 결실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도 담겨있다.
마지막으로 나보다 초보면 그냥 따라와도 좋고, 우리 함께 의견을 공유하면서 함께 성장하면 더욱 좋다.